과연 컴퓨터가 스스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을까요?
인공지능으로 이미지를 분류하거나 예측하는 것만이 가능했던 때에는 NOㅎ=라고 대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YES라고 할 수 있죠!
이는 2014년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을 발표한 이안 굿펠로우 덕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탠포드 대학에서 컴퓨터 과학을 전공하던 그는 앤드류응의 수업을 듣고 인공지능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2014년 졸업후 몬트리올 대학에 들어가 요슈아 벤지오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며 머신러닝에 대해 깊이 배우게 됩니다.
그러던 어느날, 이안 굿펠로우는 한 친구의 박사과정 졸업 축하파티에서 까다로운 문제 하나를 접하게 됩니다.
친구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잡한 통계적 분석 기법 적용을 고려하고 있었지만, 굿펠로우는 그 방법이 통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날 밤, 집에 돌아온 굿펠로우는 한 가지 아이디어를 생각해냅니다.
바로 두 개의 신경망을 서로 경쟁시키면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GAN이었죠.
가짜 이미지를 만드는 생성자와 이미지의 진위를 판별하려는 식별자가 서로 경쟁을 반복하면 가짜 이미지의 정밀도가 높아지도록 만드는 것이죠. 그렇게 컴퓨터가 새로운 이미지를 스스로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위조 지폐범이 시행착오를 반복해서 결국 경찰을 속이는 것과 같죠.
간단한 발상이었지만 이안 굿펠로우 덕분에 우리는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게 되었고, 지금은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의 real-eye-opener
cycle GAN을 통한 이미지 변환
이안 굿펠로우는 현재 애플의 특별프로젝트 크룹에서 머신 런닝 총괄을 맡고 있습니다. 그는 또 어떤 연구로 역사를 만들어갈까요?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Ian_Goodfellow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4788
http://jaejunyoo.blogspot.com/2017/01/generative-adversarial-nets-1.html
https://insidehpc.com/2017/08/heroes-deep-learning-andrew-ng-interviews-ian-goodfellow-google-brain/
https://ysbsb.github.io/gan/2020/06/17/GAN-newbie-guide.html
https://arxiv.org/pdf/1703.10593.pdf
적송 권건우
https://blog.naver.com/redpine71
공무원을 꿈꾸며 대학에 들어갔으나 동서양문화에 심취하여 수많은 사부님들을 찾아다녔고 기나긴 갈 구끝에 서울 인사동과 중국 하남성 황토벌판 그리고 실리콘밸리에서 스승을 만났다. 지금은 산에서 내려 와 많은 친구들과 동서문명을 융합시키는 새로운 도 전의 여정에 있다. 그 중 하나로 빅데이터와 인공지 능의 본질을 연구하고 쉽게 전달하는 전도사로 활약 하고 있다.
現 위데이터랩 대표이사
現 디랩아카데미 원장
現 성균관대, 한양대 겸임교수
現 세계진소왕태극권총회 서울분회장
現 국제서법연합 한국본부 사무차장
前 삼성SDS Technical Architect
가인
하루를 더 생생하게 기억하기 위해 일기장에 사진을 따라 그리는 것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가카소는 스스로 만든 별명인데 피카소처럼 재미난 그림을 그린다는 의미로 지었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경영학을 전공하며 콘텐츠 기획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자전거·드럼·그림 등 다양한 취미를 갖고 있다. 항상 ‘한다면 한다’는 마인드로 새로운 것에 도전하며 꿈을 찾아가는 중이다.
전준혁
https://student-jjh.github.io/new/
경영학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 우연히 갖게된 인공지능 역사탐구를 통해 공부의 방향성과 융합적 사고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경영학이 다양한 학문과의 관계 속에서 발전할 수 밖에 없는 학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코딩과 통계학 등 다양한 학문의 기초분야에 관하여 공부하고 있다.
루나 허령
컴퓨터과학과 소프트웨어공학을 전공하고, 지금 은 금융회사의 상품과 서비스를 분석, 설계, 구현하 는 일을 하고 있다. 대학 초년생 시절 마인드맵을 접 한 이후 즐겁게 생각하는 방법을 깨달았고, 소프트웨 어공학의 모델링 사상을 이해하고부터는 마인드맵과 모델링을 아우르는 마인드맵모델링을 연구 중이다. 세상에 대한 공학적인 접근 이외에도 마음공부와 서 예, 태극권 등으로 자신과 세상의 경계를 넘어 진리 를 탐구하고 있다.
現 삼성SDS Principal Engineer
'위데이터랩 도서 > 야사와 만화로 배우는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만화]3-5. 딥러닝 일타강사. 안드레 카피시 (0) | 2021.07.21 |
---|---|
[인공지능 만화] 3-4 인공지능 차세대 톱스타, 한국인 조경현 교수 (2) | 2021.07.19 |
[인공지능 만화] 3-2. 1등보다 빛나는 2등. VGG-16 (0) | 2021.07.15 |
[인공지능 만화] 3-1. 알파고는 누가 만들었을까? 데미스 하사비스 (0) | 2021.07.14 |
[인공지능 만화] 46. 파이썬 데이터 분석의 절대지존 판다스의 아버지, 웨스 매키니 (0) | 2021.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