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기반이 되는 빅데이터. 이런 빅테이터는 NoSQL, Hadoop과 같은 빅데이터 레이크에 저장되고 있지만 중요한 데이터들은 여전히 RDBMS에 저장되고 있습니다.
RDBMS란 관계형 모델을 효율적으로 저장 · 구성 ·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입니다.
여기서 관계형 모델이란 데이터의 중복을 없애고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여 데이터의 생성 · 수정 · 삭제가 잘 되도록 설계된 모델을 말하죠.
관계형 DB에 대한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인물은 바로 E.F.코드 박사 입니다.
1970년 IBM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엔지니어가 아닌 수학자인 코드 박사가 수학자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색다른 방법을 논문으로 발표한 것인데요,
바로 데이터를 관리할 때 합집합 · 교집합 · 여집합과 같이 집합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필요할 때 연결해서 쓰자는 내용이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코드 박사의 아이디어를 좋다고 여겼으나 정작 IBM은 이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연구하지 않았습니다.
기존에 잘 나가던 IMS/DB의 수익을 보호하기 위해서였죠.
1973년 코드 박사는 자신의 아이디어가 묻히는 것이 안타까워 IBM은 팀원 몇 명과 조그만한 연구실을 주는데 그쳤습니다. 그렇게 System R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답니다.
다행히 System R 프로젝트에는 짐그레이, 도널드 챔벌린, 패트리샤 셀링거, 레이먼드 보이스와 같은 천재들이 참여했는데요.
이들은 코드 박사의 아이디어를 상용화하지는 못했지만 RDBMS를 관리하는 언어인 SQL과 DBMS의 완전성 유지를 확신하게 해주는 트랜잭션 등 RDBMS가 가져야 하는 대부분의 아키텍처를 만들었습니다.
관계형 DB에 대한 개념으로 1981년 컴퓨터 분야 노벨상인 '튜링상'까지 받게 된 E.F 코드 박사!
그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된 RDBMS는 20세기 가장 위대한 기술적 성취 중 하나로 거듭났답니다.
(출처)
https://web.archive.org/web/20070628235443/http://www.acm.org/classics/nov95/
https://people.eecs.berkeley.edu/~brewer/cs262/SystemR.pdf
https://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558
https://www.ibm.com/ibm/history/exhibits/builders/builders_codd.html
적송 권건우
https://blog.naver.com/redpine71
공무원을 꿈꾸며 대학에 들어갔으나 동서양문화에 심취하여 수많은 사부님들을 찾아다녔고 기나긴 갈 구끝에 서울 인사동과 중국 하남성 황토벌판 그리고 실리콘밸리에서 스승을 만났다. 지금은 산에서 내려 와 많은 친구들과 동서문명을 융합시키는 새로운 도 전의 여정에 있다. 그 중 하나로 빅데이터와 인공지 능의 본질을 연구하고 쉽게 전달하는 전도사로 활약 하고 있다.
現 위데이터랩 대표이사
現 디랩아카데미 원장
現 성균관대, 한양대 겸임교수
現 세계진소왕태극권총회 서울분회장
現 국제서법연합 한국본부 사무차장
前 삼성SDS Technical Architect
가인
하루를 더 생생하게 기억하기 위해 일기장에 사진을 따라 그리는 것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가카소는 스스로 만든 별명인데 피카소처럼 재미난 그림을 그린다는 의미로 지었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경영학을 전공하며 콘텐츠 기획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자전거·드럼·그림 등 다양한 취미를 갖고 있다. 항상 ‘한다면 한다’는 마인드로 새로운 것에 도전하며 꿈을 찾아가는 중이다.
전준혁
https://student-jjh.github.io/new/
경영학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 우연히 갖게된 인공지능 역사탐구를 통해 공부의 방향성과 융합적 사고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경영학이 다양한 학문과의 관계 속에서 발전할 수 밖에 없는 학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코딩과 통계학 등 다양한 학문의 기초분야에 관하여 공부하고 있다.
루나 허령
컴퓨터과학과 소프트웨어공학을 전공하고, 지금 은 금융회사의 상품과 서비스를 분석, 설계, 구현하 는 일을 하고 있다. 대학 초년생 시절 마인드맵을 접 한 이후 즐겁게 생각하는 방법을 깨달았고, 소프트웨 어공학의 모델링 사상을 이해하고부터는 마인드맵과 모델링을 아우르는 마인드맵모델링을 연구 중이다. 세상에 대한 공학적인 접근 이외에도 마음공부와 서 예, 태극권 등으로 자신과 세상의 경계를 넘어 진리 를 탐구하고 있다.
現 삼성SDS Principal Engineer
'위데이터랩 도서 > 야사와 만화로 배우는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만화]3-16. 머신러닝 발전에 기여한 주요 데이터 셋 (0) | 2021.08.09 |
---|---|
[인공지능 만화]3-15. 빅데이터 시대를 가장 먼저 예견한 비운의 천재 짐 그레이 (0) | 2021.08.03 |
[인공지능 만화] 3-13. 오픈소스 DBMS를 대중화시킨 몬티 와이드니어스 (0) | 2021.07.30 |
[인공지능 만화] 3-12. 인공지능 50번째 생일날 다트머스 회의 AI @50 (0) | 2021.07.29 |
[인공지능 만화] 3-11.캐나다를 인공지능의 중심으로 만든 CIFAR (0) | 2021.07.28 |